줴림이 공부하줴림
[BAEKJOON] 10845. 큐 본문
[백준 10845번: 큐]
👉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45
아까 스택 문제와 매우 비슷하다. 그냥 큐를 구현하면 되는 문제. 근데 아래와 같이 작성했더니 시간 초과 문제가 발생했다.
'''
[문제]
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- push X: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.
- pop: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size: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empty: 큐가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front: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back: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'''
N = int(input())
queue = []
for _ in range(N):
cmd = input().split()
if cmd[0] == "push":
queue.append(int(cmd[1]))
elif cmd[0] == "pop":
if queue:
print(queue.pop(0))
else:
print(-1)
elif cmd[0] == "size":
print(len(queue))
elif cmd[0] == "empty": # 비어 있으면 1 출력
if queue:
print(0)
else:
print(1)
elif cmd[0] == "front": # 가장 앞에 있는 정수 = 가장 먼저 들어온 정수
if queue:
print(queue[0])
else:
print(-1)
elif cmd[0] == "back": # 가장 뒤에 있는 정수 = 가장 최근에 들어온 정수
if queue:
print(queue[-1])
else:
print(-1)
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하다가 deque를 쓰면 해결이 되려나 하고 생각했는데, 생각해보니 또 input()을 사용하는 만행을 저질렀다. 아까 스택 문제 풀 때 빠른 입출력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걸 분명 공부했는데도!!
'sys.stdin.readline()'이랑 'deque()'를 사용해서 코드를 수정했더니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었다.
'''
[문제]
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- push X: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.
- pop: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size: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empty: 큐가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front: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back: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'''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N = int(input())
queue = deque()
for _ in range(N):
cmd = sys.stdin.readline().split()
if cmd[0] == "push":
queue.append(int(cmd[1]))
elif cmd[0] == "pop":
if queue:
print(queue.popleft())
else:
print(-1)
elif cmd[0] == "size":
print(len(queue))
elif cmd[0] == "empty": # 비어 있으면 1 출력
if queue:
print(0)
else:
print(1)
elif cmd[0] == "front": # 가장 앞에 있는 정수 = 가장 먼저 들어온 정수
if queue:
print(queue[0])
else:
print(-1)
elif cmd[0] == "back": # 가장 뒤에 있는 정수 = 가장 최근에 들어온 정수
if queue:
print(queue[-1])
else:
print(-1)
[구현 시도 중 놓친 부분들]
- 빠른 입출력 사용을 까먹고 다시 input()을 사용했다. 이거 때문에 시간 초과가 일어난 것 같다.
- 'deque()'는 'pop(0)'을 할 필요 없이 'popleft()'를 사용하면 된다. 잊지 말자!
'Study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AEKJOON] 1181. 단어 정렬 (0) | 2025.07.15 |
---|---|
[BAEKJOON] 1026. 보물 (0) | 2025.07.15 |
[BAEKJOON] 10828. 스택 (2) | 2025.07.10 |
[BAEKJOON] 10815. 숫자 카드 (3) | 2025.07.10 |
[BAEKJOON] 2750. 수 정렬하기 (4) | 2025.07.09 |